볼로냐 FC 1909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로냐 FC 1909는 1909년 이탈리아 볼로냐에서 창단된 축구 클럽이다. 192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전성기를 누리며 세리에 A에서 7번 우승했고, 코파 이탈리아에서 2번, 미트로파컵에서 3번, UEFA 인터토토컵에서 1번 우승했다. 1963-64 시즌 이후 오랜 기간 침체기를 겪었지만, 2022년 티아고 모타 감독 부임 이후 2023-24 시즌에 UEFA 챔피언스리그 진출권을 획득하며 재도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밀리아로마냐주의 축구단 - 모데나 FC 2018
모데나 FC 2018은 1912년 창단된 모데나 FC의 파산 후 2018년에 재창단되어 세리에 D에서 세리에 B까지 승격한 이탈리아 축구 클럽으로, 코파 안글로-이탈리아나 2회 우승과 세리에 C 슈퍼컵 2회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 에밀리아로마냐주의 축구단 - 카르피 FC 1909
카르피 FC 1909는 1909년에 창단되어 세리에 A와 B를 오가다 2021년 해산되었으며, 아틀레틱 카르피가 AC 카르피로 이름을 변경하여 팀의 역사를 잇고 있다. - 볼로냐 FC 1909 - 빅토르 크리스티안센
빅토르 크리스티안센은 덴마크 국적의 레프트 백 축구 선수로, FC 코펜하겐에서 프로 데뷔하여 덴마크 수페르리가 우승을 경험하고 레스터 시티 FC를 거쳐 볼로냐 FC에서 활약하며 덴마크 국가대표팀으로도 활동한다. - 볼로냐 FC 1909 - 스타디오 레나토 달라라
스타디오 레나토 달라라는 이탈리아 볼로냐에 있는 다목적 경기장으로, 1934년과 1990년 FIFA 월드컵 경기, 1994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등 다양한 국제 경기가 개최되었다. - 1909년 설립된 축구단 - 피사 SC
피사 SC는 1909년에 창단된 이탈리아 축구 클럽으로, 세리에 A와 세리에 B를 오가며 활동했으며, 1994년 파산 후 재창단되어 현재는 필리포 인자기가 감독을 맡고 있다. - 1909년 설립된 축구단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는 독일 도르트문트를 연고로 하는 프로 축구 클럽으로, 독일 챔피언십 8회 우승,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 및 인터컨티넨탈컵 우승을 기록했으며, 지그날 이두나 파르크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볼로냐 FC 1909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풀 네임 | 볼로냐 풋볼 클럽 1909 S.p.A. |
별칭 | 이 로소블루 (The Red and Blues, 빨강과 파랑) 이 벨트리 (The Greyhounds, 사냥개) 이 펠시네이 (The Felsinians, 펠시나인) 이 페트로니아니 (The Petronians, 페트로니우스인) |
홈 경기장 | 스타디오 레나토 달라라 |
수용 인원 | 38,279 |
구단주 | BFC 1909 Lux SPV S.A. (99.93%) |
회장 | 조이 사푸토 |
감독 | 빈첸초 이탈리아노 |
웹사이트 | bolognafc.it |
현재 시즌 | 2024–25 볼로냐 FC 1909 시즌 |
클럽 색상 | |
색상 | 남색, 빨강 |
원어 표기 | |
이탈리아어 | Bologna Football Club 1909 S.p.A. |
발음 |
2. 역사
볼로냐 FC는 비엔나와 프라하 대학교에서 축구에 관심을 가진 오스트리아인 에밀로 아른슈타인에 의해 창단되었다. 아른슈타인과 그의 형제는 이전에 오스트리아에서 레드 스타라는 축구 클럽을 창단한 경험이 있었다. 1909년 10월 3일, 이탈리아 북부 도시 볼로냐에서 볼로냐 FC가 공식적으로 창단되었다. 클럽 창단 당시 카를로 산도니가 스폰서 겸 구단주를 맡았고, 스위스 출신 루이스 로치는 회장, 귀족 출신 귀도 델라 발레는 부회장, 엔리코 페날리아는 서기관, 세르지오 람프론티는 회계 담당, 에밀리오 아른슈타인과 레오네 빈첸치는 고문으로 임명되었다.
1910년 3월 20일, 볼로냐는 흰색 유니폼을 입고 비르투스를 상대로 첫 경기를 치렀고, 9:1로 대승을 거두었다. 첫 경기 선수 명단은 코흐, 치아라, 페스사렐리, 브라갈리아, 귀도 델라 벨레, 난니, 도나티, 라우흐, 베르나베우, 메차노, 그라디였다.
창단 첫 시즌, 아리고 그라디를 주장으로 선임한 볼로냐는 지역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상위 리그인 '베네토-에밀리아노 그룹'으로 승격했다. 볼로냐는 이 리그에서 4시즌 동안 5위 이하로 떨어진 적이 없을 정도로 좋은 성적을 유지했다.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모든 축구 리그 일정이 중단되기 전까지 볼로냐는 북부 리그에 참가했다.
2. 1. 창단 초기 (1909년 ~ 1920년대)
볼로냐 풋볼 클럽은 빈과 프라하 대학교에서 축구에 관심을 갖게 된 오스트리아인 에밀리오 아른슈타인에 의해 설립되었다. 그는 이전에 오스트리아에서 블랙 스타라는 또 다른 축구 클럽을 형제와 함께 설립한 바 있다. 이 클럽은 1909년 10월 3일 이탈리아 북부 도시 볼로냐에서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 카를로 산도니가 클럽의 후원자이자 사장을 맡았고, 스위스 출신 루이 라우흐가 회장이 되었으며, 귀족 귀도 델라 발레가 부회장, 엔리코 페날리아가 서기, 세르지오 람프론티가 회계 담당을 맡았고, 에밀리오 아른슈타인과 레오네 빈첸치는 이사로 임명되었다.1910년 3월 20일, 볼로냐는 첫 경기를 흰 유니폼을 입은 비르투스와 치렀다. 볼로냐는 상대를 압도하며 9-1로 승리했다. 첫 축구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코흐, 키아라, 페사렐리, 브라갈리아, 귀도 델라 발레, 난니, 도나티, 라우흐, 베르나베우, 메짜노, 그리고 그라디.
아리고 그라디를 주장으로 삼은 창단 시즌에 볼로냐는 리그에서 우승하여 '베네토-에밀리아노 그룹'이라는 리그로 승격되었다. 그들은 이 리그에서 4시즌 동안 5위 이하로 떨어진 적이 없었다. 모든 축구 리그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연기되기 전에 볼로냐는 노던 리그에 참가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 볼로냐는 더욱 더 많은 성공을 거뒀다. 1919-20 시즌에 처음으로 북부 리그 준결승전에 올랐고 다음 시즌에는 결승전에도 진출하였다. 1923-24 시즌에도 결승전에 출전하였지만 전년도 챔피언인 제노아에 패배하며 준우승에 만족했다.
1924-25 시즌에 볼로냐는 결승전 상대로 제노아를 만나 무려 5번의 경기를 치른 뒤에야 처음으로 리그 챔피언자리에 등극한다. 몇 시즌 뒤인 1928-29 시즌에 볼로냐는 두 번째 챔피언 등극은 이탈리아 축구에서 큰 의미가 있는데 볼로냐가 우승한 그 시즌은 이탈리아 구 축구 시스템에서 현재 시스템인 세리에 A로 바뀌기 바로 전 시즌이다.

1929년에 세리에 A가 시작된 후에도 1935-36 시즌부터 2연패를 포함하여 1941년까지 4회의 스크데토를 획득했다.
2. 2. 전성기 (1920년대 ~ 1940년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 볼로냐는 더욱 더 많은 성공을 거뒀다. 1919-20 시즌에 처음으로 북부 리그 준결승전에 올랐고 다음 시즌에는 결승전에도 진출하였지만 프로 베르첼리에 2-1로 패배 하였다. 1923-24 시즌에도 결승전에 출전하였지만 전년도 챔피언인 제노아에 패배하며 준우승에 만족했다.1924-25 시즌에 볼로냐는 결승전 상대로 제노아를 만나 무려 5번의 경기를 치른 뒤에야 처음으로 리그 챔피언자리에 등극한다. 몇 시즌 뒤인 1928-29 시즌에 볼로냐는 두 번째 챔피언에 등극하는데, 이 시즌은 이탈리아 구 축구 시스템에서 현재 시스템인 세리에 A로 바뀌기 바로 전 시즌이었다.

볼로냐는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기 전까지 4번의 리그 우승을(1935–36, 1936–37, 1938–39, 1940–41) 차지했다. 1929년에 세리에 A가 시작된 후에도 1935-36 시즌부터 2연패를 포함하여 1941년까지 4회의 스크데토를 획득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0년대 ~ 1970년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볼로냐는 이전만큼 성공적이지 못했다. 1950년대와 1960년대 동안 리그에서 주로 4위, 5위, 6위를 맴돌았다. 1963-64 시즌에 세리에 A 우승을 차지했는데, 이는 볼로냐의 마지막 리그 우승이자 통산 7번째 우승이었다.[22] 이로써 볼로냐는 1964-65 유러피언컵(현재 UEFA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했지만, 예선 라운드에서 안데를레흐트에게 탈락했다.
1970년대에는 코파 이탈리아에서 두 번 우승했다. 특히 1973-74 시즌 결승전에서는 팔레르모와 1-1 무승부 후 승부차기에서 4-3으로 승리했다.
2. 4. 침체와 재도약 (1980년대 ~ 2000년대)
1981-82 시즌 볼로냐는 칼리아리와 제노아와의 잔류 경쟁 끝에 세리에 A에서 강등되었다. 이후 연이어 두 번 강등되어 세리에 C1까지 추락했다. 그러나 다음 해 C1에서 승격하여 4년간 세리에 B에서 경쟁한 끝에 1988-89 시즌 세리에 A로 복귀했다.하지만 1991년에 다시 강등되었고, 1993년에는 세리에 C1로 돌아갔다. 1993년에는 운영 회사가 경영 위기에 처해 현재의 신규 회사인 볼로냐 FC 1909(''Bologna Football Club 1909'')를 설립하여 재출발했다. 클럽은 1996년 세리에 A로 복귀했다. 2년 후 볼로냐는 UEFA 인터토토컵에서 우승하고 UEFA컵에 출전하는등 유럽 무대에서 성공을 맛보았다. 클럽은 2004-05 시즌까지 세리에 A에 머물렀으나, 플레이오프에서 파르마에게 패하며 강등되었다.
2. 5. 최근 역사 (2000년대 ~ 현재)
볼로냐는 2004-05 시즌 세리에 A에서 파르마와의 플레이오프에서 패하며 강등되었다.[4] 강등으로 인해 주축 선수들이 대거 이탈했음에도 불구하고, 볼로냐는 2005-06 시즌에 승격 경쟁을 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시즌 초반 부진으로 렌초 울리비에리 감독이 경질되고 안드레아 만도를리니가 선임되었다. 이 기간 동안 팀은 주세페 가초니 프라스카라에서 알프레도 카촐라에게 매각되었다. 만도를리니 감독 부임 이후에도 팀 성적은 나아지지 않았고, 결국 2006년 3월에 해임되고 울리비에리 감독이 재선임되었다. 볼로냐는 2005-06 시즌을 8위로 마감했다.[4] 2006-07 시즌에는 7위를 기록했고, 2007년 4월 14일 울리비에리 감독과 카촐라 회장의 충돌로 울리비에리 감독은 다시 경질되고 루카 체코니가 임시 감독을 맡았다.[4] 2007-08 시즌에는 다니엘레 아리고니 감독의 지휘 아래 리그 2위를 기록하며 세리에 A로 승격하였다.[4]2008년 여름, 카촐라는 미국 컨소시엄과 구단 매각에 합의했으나 무산되었고, 이후 프란체스카 메나리니가 이끄는 지역 그룹에 매각되었다. 메나리니는 세리에 A 역사상 두 번째 여성 회장이었다. 아리고니 감독은 유임되었고, AC 밀란을 상대로 산 시로에서 승리하는 등 시즌 초반 좋은 모습을 보였다.[4] 그러나 이후 9경기에서 8경기를 지는 부진을 겪었고, 칼리아리 칼초에 5:1로 패배한 후 2008년 11월 3일 아리고니 감독은 경질되고 시니샤 미하일로비치가 새 감독으로 선임되었다.[4]
2009년 4월 14일, 주세페 파파도풀로 감독이 선임되어 팀을 강등 위기에서 구해냈다.[4] 세리에 A 2009-10 시즌은 볼로냐가 세리에 A에서 65번째 시즌을 맞이한 시즌이었으며, 프랑코 콜롬바 감독 체제 하에서 재정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강등을 피했다.
2010년 5월, 메나리니 가문은 사르데냐 출신 사업가 세르지오 포르세다에게 구단을 매각했다. 콜롬바 감독은 세리에 A 2010-11 시즌 시작 전인 2010년 8월 29일에 해임되었는데, 포르세다 회장은 콜롬바 감독이 팀에 대해 회의적이었다는 이유를 들었다.[5]
2010년 12월 23일, 은행가 조반니 콘소르테와 커피 사업가 마시모 자네티가 이끄는 '볼로냐 2010' 컨소시엄이 포르세다로부터 구단을 인수했다. 포르세다는 짧은 경영 기간 동안 임금 체불 문제로 팀을 파산 위기에 몰아넣었다.[6] 자네티가 새로운 구단 회장이 되었고, 이탈리아의 유명한 가수이자 오랜 볼로냐 팬인 잔니 모란디가 명예 회장에 임명되었다.[7][8]
2011년 1월 21일, 자네티 회장과 루카 바랄디 CEO는 경영 파트너와의 불화로 28일 만에 사임했고, 스테파노 페드렐리가 새 단장으로 임명되었다. 76일간 마르코 파비냐니가 회장직을 맡았다.
2011년 4월 7일, 파비냐니의 사임 후 알바노 구아랄디가 새로운 회장이 되었다.[9] 그는 자네티에 이어 "볼로냐 2010" 컨소시엄의 두 번째로 큰 주주였다.
2013-14 시즌 볼로냐는 세리에 B로 강등되었고, 구단과 구아랄디 구단주를 둘러싼 재정 문제가 드러났다. 그는 알레산드로 디아만티를 광저우 헝다에 매각하는 등 논란이 많은 결정을 내려 팬들의 비판을 받았다. 새 시즌을 위해 전 칼리아리 감독인 디에고 로페스가 새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한편 구아랄디는 볼로냐 지분을 새로운 소유주에게 넘길 의사를 밝혔다. CF 몬트리올의 구단주이자 전 볼로냐 선수 마르코 디 바이오의 팀 소유주인 조 타코피나와 조이 사푸토가 이끄는 북미 그룹이 구단 인수에 관심을 보였고, 이어 전 회장 마시모 자네티도 또 다른 인수 제안을 했다. 2014년 10월 15일, 이사회는 구단을 BFC 1909 Lux SPV에 매각하는 것을 승인했고, 타코피나가 새로운 구단 회장이 되었다.

룩셈부르크의 중간 지주회사인 BFC 1909 Lux Spv S.A.[10]의 새로운 소유권 하에 볼로냐는 2015년 세리에 A로 승격되었다. 2014년 11월 17일, 사푸토는 타코피나의 뒤를 이어 볼로냐 이사회의 새로운 회장이 되었다.
세리에 A 복귀 첫 시즌, 볼로냐는 14위로 강등을 피했다. 다음 두 시즌 동안 볼로냐는 리그에서 15위를 기록했다. 2018-19 세리에 A 시즌, 볼로냐는 10위라는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11] 그 후 3시즌 동안 볼로냐는 세리에 A에서 중위권을 유지하며 2시즌 연속 12위, 2021-22 시즌에는 13위를 기록했다.[12]
2022년 9월 12일, 티아고 모타가 볼로냐의 감독으로 임명되었다.[13] 이후 클럽은 2022-23 시즌 9위를 기록하며 54점을 얻어 새로운 팀 기록을 세웠다.[14] 2023-24 시즌, 모타 감독 체제 하에서 볼로냐는 1964-65 시즌 이후 처음으로 UEFA 챔피언스리그 진출권을 확보하며 세리에 A 5위 안에 들었고,[15] 결국 68점이라는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16]
3. 경기장
볼로냐의 공식 경기장은 스타디오 레나토 달라라이다. 달라라는 볼로냐에서 가장 큰 스포츠 시설이며 볼로냐가 세리에 A의 ''스쿠테토''를 차지하기 3일 전에 세상을 떠난 전 구단주인 레나토 달라라 회장의 이름을 기념해 지은 것이다. 수용인원은 38,729명이다. curva Bulgarelli (Bulgarelli 커브 [Curve] ) 이자 볼로냐의 울트라스의 커브는 볼로냐의 유명한 축구 선수인 자코모 불가렐리에게 바쳐졌으나 2009년 2월 31일에 불가렐리가 사망하면서 사라졌다. 원정 팬들을 위한 다른 커브는 볼로냐의 전쟁 이전 우승을 이끈 감독이자 제2차 세계 대전중 나치 수용소에서 사망한 아르파드 바이츠/Weisz Árpádhu를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4. 선수단
'''2024년 8월 24일 현재'''[23]
{|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border-collapse: collapse;"
|-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vertical-align: top; width: 48%;"|
선수명 |
---|
|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vertical-align:top;"|
선수명 |
---|
|}
※괄호 안의 국기는 기타 보유 국적 또는 시민권을, 별표는 EU권 외 선수임을 나타냅니다.
{|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border-collapse: collapse;"
|-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vertical-align: top; width: 48%;"|
선수명 |
---|
|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vertical-align:top;"|
선수명 |
---|
|}
4. 1. 현재 선수 명단 (2024-25 시즌)
2024년 8월 30일 기준 볼로냐 FC 1909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25]번호 | 포지션 | 이름 |
---|---|---|
1 | GK | 우카시 스코룹스키 |
2 | DF | 에밀 홀름 |
3 | DF | 슈테판 포슈 |
5 | DF | 마르틴 에를리치 |
6 | MF | 니콜라 모로 |
7 | FW | 리카르도 오르솔리니 (부주장) |
8 | MF | 레모 프로일러 |
9 | FW | 산티아고 카스트로 |
10 | FW | 예스페르 칼손 |
11 | FW | 단 은도예 |
14 | FW | 사무엘 일링주니어 (애스턴 빌라에서 임대) |
15 | DF | 니콜로 카살레 (라치오에서 임대) |
16 | DF | 토마소 코라차 |
17 | MF | 우사마 엘 아주지 |
18 | MF | 톰마소 포베가 (AC 밀란에서 임대) |
19 | MF | 루이스 퍼거슨 (주장) |
20 | MF | 미셸 애비셔 |
21 | FW | 옌스 오드가르드 |
22 | DF | 하랄람포스 리코야니스 |
23 | GK | 니콜라 바뇰리니 |
24 | FW | 티스 달링가 |
26 | DF | 혼 루쿠미 |
28 | FW | 니콜로 캄비아기 |
29 | DF | 로렌초 데 실베스트리 |
30 | FW | 벤하민 도밍게스 |
31 | DF | 샘 뵈케마 |
33 | DF | 후안 미란다 |
34 | GK | 페데리코 라발리아 |
80 | MF | 조반니 파비안 |
82 | MF | 카츠페르 우르반스키 |
주: 선수의 국적 표기는 FIFA가 정한 대표 자격 규정에 따른다.[23]
4. 2. 역대 주요 선수
볼로냐 FC 1909에서 활약한 주요 선수로는 이탈리아의 크리스티안 차카르도, 그리스의 테오도로스 자고라키스, 독일의 헬무트 할러, 산마리노의 마시모 보니니, 스웨덴의 케네트 안데르손, 시에라리온의 모하메드 칼론, 아르헨티나의 훌리오 리카르도 크루스, 일본의 나카타 히데토시 등이 있다.골키퍼로는 잔루카 팔류카(1984-1986, 1999-2006), 프란체스코 안토니오리(1995-1999, 2006-2009), 안토니오 미란테(2015-2018) 등이 있다.
수비수로는 안토니오 카브리니(1989-1991), 크리스티안 자칼도(1999-2000, 2001-2004), 체사레 나탈리(2003-2004, 2012-2014), JPN 冨安健洋(토미야스 다케히로) (2019-2021) 등이 있다.
미드필더로는 헬무트 할러(1962-1967), 잔카를로 마로키(1982-1988, 1996-2000), 나카타 히데토시(2004), 테오도로스 자고라키스(2004-2005), 알레산드로 디아만티(2011-2014.2), 블레림 제마일리(2016-2020.1) 등이 있다.
공격수로는 안젤로 스키아비오(1922-1939), 케넷 안데르손(1996-1999, 2000), 로베르토 바조(1997-1998), 훌리오 크루스(2000-2003), 마르코 디 바이오(2008-2012), 로드리고 팔라시오(2017-2021) 등이 있다.
5. 역대 감독
볼로냐는 오랜 기간 동안 여러 감독들이 거쳐갔으며, 공동 감독 체제로 운영된 경우도 있었다.[26][20] 1920년부터 현재까지 볼로냐 FC 1909의 역대 감독 목록은 다음과 같다.
이름 | 국적 | 연도 |
---|---|---|
에르만 펠스너 | 1920–31 | |
줄러 렐로비치 | 1931–32 | |
요제프 너지 | 1932 | |
아실리 가마 | 1932–33 | |
테크니컬 커미션 | 1933–34 | |
러요시 코바치 | 1934 | |
아르파드 베이스 | 1934–38 | |
에르만 펠스너 | 1938–42 | |
마리오 몬테산토 | 1942–43 | |
알레크잔더 포포피크 | 1945–46 | |
테크니컬 커미션 | 1946 | |
요제프 비올러 | 1946–47 | |
줄러 렐로비치 | 1947–48 | |
토뉘 카르그넬리 | 1948–49 | |
에드먼드 크로포드 | 1950–51 | |
라파엘레 산소네 | 1951 | |
주세페 갈루치 | 1951–52 | |
줄러 렐로비치 | 1952 | |
주세페 비아니 | 1952–56 | |
알도 캄파텔리 | 1956–57 | |
류보 벤치치 | 1957 | |
죄르지 샤로시 | 1957–58 | |
알프레도 포니 | 1958–59 | |
페데리코 알라시오 | 1959–61 | |
풀비오 베르나르디니 | 1961–65 | |
만리오 스코피뇨 | 1965 | |
루이스 카르니글리아 | 1965–68 | |
주세페 비아니 | 1968 | |
체사리노 체르벨라티 | 1968–69 | |
오론초 풀리에세 | 1969 | |
에드몬도 파브리 | 1969–72 | |
오론초 풀리에세 체사리노 체르벨라티 | 1972 | |
브루노 페사올라 | 1972–76 | |
구스타보 자뇨니 | 1976–77 | |
체사리노 체르벨라티 | 1977 | |
브루노 페사올라 | 1977–79 | |
마리노 페라니 | 1979 | |
체사리노 체르벨라티 | 1979 | |
마리노 페라니 | 1979–80 | |
루이지 라디체 | 1980–81 | |
타르치시오 부르니크 | 1981–82 | |
프란체스코 리구오리 | 1982 | |
알프레도 마니 | 1982 | |
파올로 카로시 | 1982–83 | |
체사리노 체르벨라티 | 1983 | |
잔카를로 카데 | 1983–84 | |
넬로 산틴 | 1984 | |
브루노 파체 | 1984–85 | |
카를로 마초네 | 1985–86 | |
빈첸초 구에리니 | 1986–87 | |
조반 바티스타 파브리 | 1987 | |
루이지 마이프레디 | 1987–90 | |
프란코 스콜리오 | 1990 | |
루이지 라디체 | 1990–91 | |
루이지 마이프레디 | 1991 | |
네도 소네티 | 1991–92 | |
에우제니오 베르셀리니 | 1992–93 | |
알도 체란톨라 | 1993 | |
로마노 폴리 | 1993 | |
알베르토 차케로니 | 1993 | |
에도아르도 레야 | 1993–94 | |
렌초 울리비에리 | 1994–98 | |
카를로 마초네 | 1998–99 | |
세르조 부소 | 1999 | |
프란체스코 구이돌린 | 1999–03 | |
카를로 마초네 | 2003–05 | |
렌초 울리비에리 | 2005 | |
안드레아 만도를리니 | 2005–06 | |
렌초 울리비에리 | 2006–07 | |
루카 체코니 | 2007 | |
다니엘레 아리고니 | 2007–08 | |
시니샤 미하일로비치 | 2008–09 | |
주세페 파파도풀로 | 2009 | |
프란코 콜롬바 | 2009–10 | |
파올로 마냐니 (대행) | 2010 | |
알베르토 말레사니 | 2010–11 | |
피에르파올로 비솔리 | 2011–11 | |
스테파노 피올리 | 2011–14 | |
다비데 발라르디니 | 2014 | |
루이스 디에고 로페스 | 2014-15 | |
델리오 로시 | 2015 | |
로베르토 도나도니 | 2015-18 | |
필리포 인차기 | 2018-19 | |
시니샤 미하일로비치 | 2019-22 | |
루카 비지아니 (임시) | 2022 | |
티아고 모타 | 2022-24 | |
빈첸초 이탈리아노 | 2024- |
6. 우승 기록
'''북부 리그''' / '''세리에 A''' : 7
:* '''우승''': 1924–25, 1928–29, 1935–36, 1936–37, 1938–39, 1940–41, 1963–64.
:* '''준우승''': 1920–21, 1923–24, 1925–26, 1926–27, 1931–32, 1939–40, 1965–66.
'''코파 이탈리아''' : 2
:* 우승: 1969–70, 1973–74.
'''미트로파컵''' : 3
:* 우승: 1932, 1934, 1961 국제대회
'''UEFA 인터토토컵''' : 1
:* 우승: 1998.
6. 1. 국내 대회
볼로냐는 세리에 A에서 7회 우승하였다. 1924-25, 1928-29, 1935–36, 1936–37, 1938–39, 1940–41, 1963-64 시즌에 우승을 차지했다. 준우승은 1920-21, 1923-24, 1925-26, 1926-27, 1931-32, 1939-40, 1965-66 시즌에 기록했다. 코파 이탈리아에서는 1969-70, 1973-74 시즌에 우승하여 총 2회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세리에 B에서는 1987-88, 1995-96 시즌에 우승하였고, 세리에 C1에서는 1994-95 시즌에 우승했다.
6. 2. 국제 대회
볼로냐 FC 1909는 미트로파컵에서 3회 (1932년, 1934년, 1961년) 우승하였고, UEFA 인터토토컵에서 1회 (1998년) 우승하였다. 회장 레나토 달라라(왼쪽)와 주장 미르코 파비나토(오른쪽)가 1961년 미트로파컵 트로피와 함께 있는 사진이 남아있다.
참조
[1]
웹사이트
#956 – Bologne FC : Rossoblù
https://footnickname[...]
Footnickname
2023-02-26
[2]
웹사이트
#700 – Bologne FC : i Veltri
https://footnickname[...]
Footnickname
2022-01-17
[3]
문서
A partial refoundation took place in 1993
1993
[4]
뉴스
Il Bologna a Mihajlovic
http://www.bolognafc[...]
Bologna FC 1909
2008-11-03
[5]
뉴스
Bologna sack Colomba ahead of Inter game
http://soccernet.esp[...]
ESPN Soccernet
2010-08-29
[6]
뉴스
Dott. Leonardo Corsi / Bologna F.C. 1909 SpA
http://www.coni.it/f[...]
2011-04-27
[7]
뉴스
Bologna bailed out
http://soccernet.esp[...]
ESPN Soccernet
2010-12-20
[8]
뉴스
Coffee king Zanetti explains Bologna buyout
http://www.tribalfoo[...]
Tribalfootball.com
2010-12-20
[9]
웹사이트
Official: Bologna appoint Albano Guaraldi as new president | Goal.com
https://www.goal.com[...]
[10]
웹사이트
Bologna FC team suffered a €28.4 mn loss in June 2015, before climbing back to the top league
http://s24ore.it/xfU[...]
[11]
웹사이트
Bologna - Mihajlovic Diagnosed With Leukaemia
https://www.mountroy[...]
2019-07-14
[12]
웹사이트
2017-18 Serie A Season Review
https://www.getfootb[...]
2018-05-29
[13]
웹사이트
Thiago Motta becomes Bologna head coach
https://www.bolognaf[...]
2022-09-12
[14]
웹사이트
Bologna record punti: impresa per Thiago Motta
https://www.tag24.it[...]
2023-06-05
[15]
웹사이트
Official: Juventus and Bologna secure 2024-25 Champions League places
https://football-ita[...]
2024-05-12
[16]
웹사이트
Bologna suffer Serie A blow after defeat to Genoa
https://uk.sports.ya[...]
Yahoo!
2024-05-24
[17]
웹사이트
Prima squadra
https://www.bolognaf[...]
Bologna F.C. 1909
[18]
뉴스
Tutti I Presidenti del Bologna
http://www.federosso[...]
FedeRossoblu.net
2007-10-13
[19]
문서
From 2014 to 2020
[20]
뉴스
Tutti Gli Allenatori del Bologna
http://www.federosso[...]
FedeRossoblu.net
2007-10-13
[21]
웹사이트
Supersport Tournament (Athinai) 1999-2001
https://www.rsssf.or[...]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03-01-23
[22]
웹사이트
ボローニャ新会長、81億円での新スタジアム計画を発表
http://qoly.jp/2014/[...]
Qoly football web magazine
2014-10-16
[23]
웹사이트
Prima Squadra
https://www.bolognaf[...]
[24]
서적
Football
http://www.dipionlin[...]
DiPI Online - Dizionario di Pronuncia Italiana
2021-08-03
[24]
서적
Club
http://www.dipionlin[...]
DiPI Online - Dizionario di Pronuncia Italiana
2021-08-03
[25]
웹인용
Bologna F.C. 1909 - La squadra
http://www.bolognafc[...]
[26]
뉴스
Tutti Gli Allenatori del Bologna
http://www.federosso[...]
FedeRossoblu.net
2007-1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